천간의 경(庚)과 신(辛) , 지지의 신(申)과 유(酉) 네 글자가 명리학에서 말하는 오행 '금'의 기운이다.
오행 중 네번째 글자인 금(金)
보통 '바위', '칼', '보석' 등을 물상으로 표현하나, 기운을 쉽게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생각하면 된다.
'맺고 끊는 힘'
'수렴하는 에너지, 가두는 힘'
'절제하는 힘'
계절적으로는 '가을'의 기운으로 가을밤의 쓸쓸함, 마무리하고, 정리하는 기운을 상징한다.
봄(목),여름(화)의 난한 기운에서 환절기(토)를 지나 가을(금)로 넘어와 열매가 열리고, 곡식이 익는 모습이다. 즉, 노력에 대한 성과, 결실의 기운이다.
하루 안에서는 '저녁'의 기운으로 정리하고, 버리고 모으는 힘이다.
색으로는 흰색, 즉 색채를 잃어버린 것, 감정이 없는 것을 뜻하며, 방향으로는 서쪽,
신체기관으로는 폐, 기관지, 대장을 의미한다. 금이 무력해지면(화가 강하면) 이와 관련된 질환을 조심해야한다.
동양의 기본덕목 오상(인/의/예/지/신) 중, 금은 의(義)로 의리를 뜻하기에 금이 발달한 사람은 약속을 잘 지킨다. 약속과 질서가 중요하다.
사주에 '금' 기운이 발달한 사람은?
- 맺고 끊음이 확실하다.
- 성과주의, 결과 중심적이다.
- 결단력, 합리성이 있다.
- 청결한 것을 좋아하고, 깔끔하다.
- 자기확신, 자신감이 있다.
금의 에너지가 지나치거나 부정적으로 발현되는 경우
- 크리티컬하다. 비판적이다.
- 감정이 차갑고, 냉정하여 타협하기 어렵다.
- 자신의 뜻대로 되지 않으면 잔소리가 심하다.
- 예민하고 까칠한 독불장군
천간의 경금과 지지의 신금은 양의기운, 천간의 신금과 지지의 유금은 음의 기운으로 그 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천간과 지지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루려고 한다.
'명리학 > 음양오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양오행 - 수(水)에 대하여 (0) | 2023.06.15 |
---|---|
음양오행 - 토(土)에 대하여 (0) | 2023.06.13 |
음양오행 - 화(火)에 대하여 (0) | 2023.06.12 |
음양오행 - 목(木)에 대하여 (2) | 2023.06.08 |
오행의 상생상극(生vs剋) '생'이면 좋고, '극'이면 나쁠까? (0) | 2023.06.01 |